비즈니스 성과 향상을 위한 Agile 코칭의 필요성
Agile 개발이 표면적으로는 점진적/반복적 개발 형태를 가지다 보니 Agile은 기존 개발방법의 연장선에서 별 어렵지 않은 방법론이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런 분들은 Scrum 정도야 우리가 충분히 할 수 있지 않나 생각하십니다. 하지만 Scrum은 겉으로 표현된 활동이 전부는 아니며 그 이면에는 팀의 자기조직화(Self-organizing)와 Servant leadership, 코칭 및 Facilitation 역량 등 기존과는 다른 관리 방식을 요구하는 것들이 많이 있습니다.
“Scrum은 단순한 Practice들의 집합 이상이며 사고방식(way of thinking)의 변화이다. 자기 조직화된 팀과 임파워먼트, 지속적인 변화와 개선을 필요로 한다.”
Scrum Alliance - 글로벌 Agile 단체
또한 현실에 Agile을 적용할 때에도 다음과 같은 경우가 자주 나타납니다.
...
처음 Agile을 적용하게 되면 대부분 시행착오를 거칠 수 밖에 없는데 작은 스타트업 같은 회사라면 크게 문제가 없지만 일정 규모가 되는 조직에서는 문제가 됩니다. 시범적용이 실패하거나 구성원들에게 Agile의 효과를 인식시키지 못한다면 내부 확산은 어렵기 때문입니다.
Agile 도입의 효과
Agile 도입의 목적은 조직마다 다소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져옵니다.
업무 투명성 및 가시성 향상
직원 사기 및 생산성 향상
고객 만족도 향상
시장 출시 기간 단축
신규 비즈니스 성장
업무 우선순위 관리 능력 향상
외부 Agile 코치의 역할
외부코치는 일정기간 애자일이 성공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Agile 교육과 코칭, Agile 적용에 따른 제반 이슈 해결을 지원합니다. 이때 내부 리더들은 자연스럽게 Agile을 습득하면서 Agile 리더(혹은 코치)로 성장하게 됩니다. 아래는 외부 Agile 코치가 수행하는 주요 역할들입니다.
Agile 리더십 팀 구성 및 비전 수립 워크숍 진행
Agile 관점에서 기존 조직 현황을 진단하고 변화과제 제시
팀에 비즈니스 성과가 날 수 있도록 Agile Practice 가이드 및 멘토링
Agile을 적용하면서 나타나는 개발팀과 이해관계자간의 불만이나 이슈를 해결
구성원들이 상호 협력하고 잠재력을 높일 수 있는 코칭
Agile이 조직 내 정착될 수 있도록 이해관계자의 변화관리
조직에 적합한 프로세스 수립 가이드 및 멘토링
Agile 개발 및 관리 도구 활용 가이드
Agile 코칭 기간은 조직 규모 및 적용 범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조직내 구성원들의 마인드셋 변화가 쉽게 이루어지기 어려우므로 최소 6개월 이상을 권장합니다.
당사 서비스 특징
Lean Startup, Design Thinking, Scrum, Kanban 등 글로벌 Agile 표준을 기반으로 현행 프로세스 적용 수준을 진단하고 내부 리더들과의 워크숍을 통하여 조직 고유의 특성에 적합한 Agile Practice와 적용 수준을 제시합니다.
Agile에만 치우치지 않고 기존 방법론과의 상호보완을 통하여 무엇이 조직에 가장 적절한 프로세스인지를 탐색합니다.
코칭 및 Facilitation 스킬을 활용하여 고객에게 단순한 지식전달이나 문제해결이 아닌 구성원들 스스로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25년 넘는 프로세스 개선 경험 (Agile & Scrum, Project Management, CMMI 등)으로 성공적인 Agile 조직으로의 변화를 지원합니다.
글로벌 Agile 단체에 소속된 해외 Agile 전문가와의 업무제휴를 통해서 최신 현황과 기술을 지원해 드립니다.